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AWS

by 황밤 2023. 10. 20.
728x90
반응형

5) AWS 사용 방법

 

  • 전문가의 도움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AWS를 많이 사용
  • 관리 콘솔과 managed 서비스를 이용
  • 관리콘솔
    • 웹 브라우저의 GUI로 AWS를 조작하는 것
    • 서비스 별로 고유 화면이 있어서 서비스 설정 등을 쉽게 할 수 있음
  • Managed Service
    • AWS가 관리하는 서비스
    • EC2는 Managed Service 가 아니지만 S3 나 RDS 는 Managed Service
    • S3 나 RDS 는 백업이나 업데이트를 직접 할 필요가 없음
    • 스토리지 용량이 자동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음
    • 백업, 알림, 모니터링, 패치 관리, 보안, 장애에 대비한 이중화 등을 수행해 줍니다.
    • 보안 전문가가 없는 경우 매우 유용한 서비스

6) 도입 사례

  • 현대 건설의 경우 베스핀 글로벌을 통해서 Amazon S3를 빅데이터 플랫폼과 데이터 레이크로 구축을 하고 Sagemaker로 수요 예측 시스템을 만들어 운용
  • 게임 회사들도 On-premise 와 AWS를 병행해서 사용
  • 삼성, LG 와 같은 가전 회사들도 AWS를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.

 


2. 기본 개념

2.1) Region

  • AWS 의 모든 서비스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인 장소
  • 한 번 설정하면 변경이 안됨
  • 거리의 개념과 백업의 개념
    •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받는 것이 좋고 백업을 할 때는 먼 곳에 하는 것이 좋음

2.2) Availability Zone(가용 영역)

  • 데이터 센터의 개념으로 하나의 리전 안에 1개 또는 여러 개의 가용 영역을 가짐
  •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EC2 가상 서버를 만들 때 되도록이면 하나의 리전이더라도 여러 가용 영역에 생성하는 것을 권장
  • ELB(로드 밸런서)는 같은 리전 안에 여러 가용 영역에 걸쳐 트래픽을 분배해 줄 수 있으므로 이 방식을 권장
  • 하나의 가용 영역이 작동 불능이 되더라도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게 됩니다.
    • 이러한 성질을 가용성이라고 합니다.

2.3) Edge Location

  • AWS 의 CDN 서비스인 Cloud Front 를 위한 캐시 서버
  • CDN(Content Delivery Network): 콘텐츠를 사용자가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전 세계 여러 곳에 위치한 캐시 서버에 복제해주는 서비스
  • CDN 캐시 서버는 인터넷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역에 POP(Point - of - Presense)를 구축하는데 이 곳이 CDN 서비스와 사용자가 직접 만나는 곳이라고 해서 Edge 라고 합니다.

2.4) 관리 콘솔

  • 웹 브라우저에서 AWS를 관리하는 화면
  • 각 관리 콘솔마다 별도의 대시보드를 제공

2.5) AWS CLI

  • AWS 서비스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CLI

3. IAM 서비스 (매니지먼트, 유지 보수 분야 필요)

  • IAM(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) : AWS 권한을 관리하는 서비스
  • 처음 AWS 에 회원 가입을 하면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Root 권한이 부여된 관리자 계정이 생성됨.
  • IAM은 유저나 권한에 대한 서비스
  • MFA(Multi Factor Authentification)
  • Factor :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
    • Factor 의 종류
      • 지식 기반 - ID/PW 과 같이 알고 있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
      • 소유 기반 - 휴대폰 SMS 인증 등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방식
      • 속성 기반 - 고유의 속성을 이용하는 방식 (지문 인식, 홍채 인식 등)
  • AWS 계정 인증이 지원하는 MFA는 두가지 이상의 팩터를 지원

Linux -계정 관리 : chroot, cgroup

 


4. Network

4.1) LAN(Local Area Network)

  • 근거리 통신 망
  • 구성하는 기술
    • Router :
      • 네트워크 출입구가 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기기
      • 일방향으로 들어온 데이터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목적지에 가까운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
    • Hub :
      • 네트워크의 배선을 분할하는 기기
    • Firewall(방화벽)
      • 들어오고(인바운드) 나가는(아웃바운드) 데이터를 확인하고 통신 여부를 조정하는 장치
      • 프록시 서버 :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키는데 서버 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
    • DMZ : 인터넷과 같이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의 중간에 설치하는 네트워크
    • DHCP :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에 자동으로 IP를 분배하는 장치
    • Subnet :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게 분할한 네트워크

4.2) IP Address

  • 인터넷 상에서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한 주소 
  • IP v4 와 IP v6 또는 Private IP 와 Public IP 또는 Static IP 와 Dynamic IP 등으로 분류를 합니다.
  • IP v4 는 32 비트 주소 체계로 8비트 씩 나누어서 10진수로 . 과 함께 표현
    • 0.0.0.0 ~ 255.255.255.255
    • 클래스 별로 나누어서 사용
    • 첫 비트가 0 이면 A Class
    • 첫 비트가 1 이고 두번째 비트가 1 이면 B Class
    • 첫 번째와 두번째 비트가 1이고 세번째 비트가 0이면 C Class
    • 지금도 이 표현법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주소 개수가 부족하여 IP v6 를 사용
  • IP v6 는 4비트 씩 4개씩 끊어서 :: 으로 구분해서 8개의 영역으로 표기
  • Private IP 는 내부 망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한 IP
    • 10으로 시작하거나 17.16 으로 시작하거나 192.168 로 시작하면 Private IP
  • Public IP 는 모든 망에서 서로를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IP
    • 내부 망 이외에서 접속을 할려면 Public IP 가 할당되어 있어야 합니다.
  • Static IP 는 변경되지 않은 IP
    •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public ip 와 static ip 의 성격을 갖는 ip 가 있어야 합니다.
  • Dynamic IP 는 수시로 변경되는 IP
  • Elastic IP 는 AWS 에서 서비스 별로 Static IP 형태로 탄력적으로 부여하는 IP

 

4.3) DomainName 과 DNS

  • IP는 숫자로 되어 있고 숫자는 사람이 기억하기 어렵습니다.
  • 숫자로 된 IP에 의미있는 이름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것이 Domain Name
  • Domain Name을 IP와 매핑 시켜주는 서비스를 DNS(Domain Name Service) 라고 합니다.
    • Route 53 이라는 서비스가 AWS 에서 DNS 역할을 수행합니다.

 

4.4) VPN(Virtual Private Network)

  •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한 회사나 몇몇 단체가 내용을 외부에 들어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설 통신망
  • 최근의 대기업 업무망은 대부분 VP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  • 업무 때문이 아니라 차단된 사이트에 접근하기 위한 목적으로 VPN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
  • Amazone 에서는 VPC 라는 서비스로 제공
    • 하나의 VPC 로 묶으면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인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.
  •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생성하고 EC2 와 같은 OS 서비스를 선택한 상태에서 EC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할려면 하나의 VPC 로 묶던가 데이터베이스를 public 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.
  • VPC 기능
    • CIDR 블록 : 서브넷을 의미하는데 네트워크를 나눈 범위

 

 

 

 

Subnet Mask : 동일한 네트워크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값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  • 컴퓨터에 설정할 때는 24 대신에 255.255.255.0 으로 설정합니다.
  • 가용영역 : 서브넷이 구축된 물리적 장소
  • 인터넷 게이트웨이 :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출입구
  • 보안 그룹 : AWS가 제공하는 가상의 방화벽으로 인스턴스 단위로 설정하고 유입되는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거부
    • 유입되는 데이터를 받고자 하면 보안 그룹에 CIDR 형태로 블록을 추가해서 허용을 하는 인바운드 규칙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.
  • 네트워크 ACL ( Access Control List) : AWS 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방화벽으로 서브넷 단위로 설정

 

4.5) Peering

  • VPC 와 VPC 끼리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기술
  • 처음에는 Public Access 를 주로 이용

 

4.6) 기본 VPC

  • AWS 에서는 기본적으로 VPC를 제공
  • 네트워크 범위는 172.31.0.0/16 으로 제공
    • 172.31 로 만 시작하면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로 간주해서 별도의 설정없이 통신이 가능

4.7) IP Masquerade

  • LAN 내부의 PC 에는 전부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고 외부로 나갈 때는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해서 사용
    • 이 때 주소 변환을 담당하는 것을 IP 마스커레이드라고 하고 이를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라고 합니다.

4.8) 알려진 포트

  • 기본적으로 설정해서 사용하는 포트
    • 메일 : 25, 110, 143
    • 웹 : 80, 443
    • SSH : 22
    • FTP : 20, 21
    • DNS : 53
    • 원격 데스크 탑 : 3389
    • 데이터베이스 : SQL Server(1433), Oracle(1521), MySQL 과 MariaDB(3306), Postgre SQL(5432), MongoDB(27017), Redis(6379)
    • 기타 :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8080 port 를 사용함.

4.9) End Point

  • VPC 내부에서 외부로 접속하기 위한 연결점
  • 외부에서 AWS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AWS 인스턴스의 End Point를 알아야 합니다.

 

5. EC2

5.1) 개요

  •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를 생성하는 IaaS

5.2) 생성

  • 기본 리전 확인 - 리전은 설정되면 변경이 안됨
  • EC2 관리 콘솔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선택

이름 설정

 

AMI 선택 : 운영체제

 

인스턴스 유형 : 하드웨어

 

키페어

  • EC2 인스턴스에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인증 파일을 생성
  • 한 번 다운로드 되면 다시는 다운로드 할 수 없음
  • Mac 유저는 pem 확장자를 사용, Windows는 ppk 파일을 사용하는데 puttygen을 이용하면 pem 파일을 ppk 파일로 변환이 가능

네트워크 설정

  • SSH 허용은 필수로 하고 HTTP는 선택

스토리지 설정

 

5.3) Windows 에서 접속

  • puttygen을 이용해서 pem 파일을 load -> generator -> ppk 생성됨

 

5.4) EBS(Elastic Block Store)

  • 영구적인 블록 스토리지 볼륨
  • 기능
    • 탄력적 볼륨 - 크기를 쉽게 변경 가능
    • 스냅 샵 - 통째로 복사
    • 암호화

5.5) ELB ( 로드 밸런서)

  • ELB에서 발생하는 에러
    • 504 에러가 발생하면 ELB에서 발생하는 오류
    • 서버 레이어나 데이터베이스 레이어에 접속하려고 할 때 접속 시간 초과 오류
    • 이런 경우에는 로드 밸런서에서 최대 접속 시간 제한을 늘리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응답 시간을 줄여주어야 합니다.

5.6) Snapshop 

  • 어떤 시점의 서버 디스크 상태를 그대로 보존한 파일이나 디스크의 집합

5.7) Auto Scailing

  • 서버의 엑세스 상태에 따라 서버를 늘리거나 줄이는 기능
  • Auto Scailing 그룹을 생성하고 그룹에 인스턴스의 최소 대수와 최대 대수를 설정하면 이 범위 안에서 자동으로 인스턴스 개수가 증감
  • 설정 옵션
    • EC2 인스턴스가 정지된 경우 이를 분리하고 새로 시작
    • 일정에 맞춰 스케일링 하는 방법
    • 리소스의 임계값을 설정해서 임계값을 넘을 때 인스턴스 수를 자동적으로 증감시키는 방법

 

반응형
LIST